포스팅 목차
주식은 다양하게 발행됩니다. 일정 조건을 충족한다면 상장이 가능합니다. 상장은 주식회사가 거래소에서 거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넘어서는 의미가 있습니다. 소수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일반인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것입니다. 주주가 늘어나는 만큼 회사의 사회적 책임도 커집니다. 지금부터 주식 발행 및 상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시장은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발행된 증권이 투자자에게 매각되는 발행시장과 이미 발행된 증권이 매매되는 유통시장이 있습니다. 발행시장은 증권이 발행되고 최초로 투자자에게 매각되는 시장입니다. 발행주체는 투자자로부터 사업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수익성이 좋은 투자 안에 투자하고 기업경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유통시장은 발행시장에서 투자한 증권을 매각해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시장입니다. 유통시장은 증권이 투자자 상호 간에 매매되는 2차 시장입니다. 우리가 거래하고 있는 증권시장이 바로 이것입니다.
증권의 종류
증권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증권은 자본시장법에서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습니다.
- 지분증권(주식)
- 채무증권(채권)
- 수익증권
- 투자계약증권
- 파생결합증권
- 증권예탁증권
이 중 주식인 지분증권에 대해 한 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공모나 사모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 2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식으로 증권을 발행하게 됩니다. 공모는 자본시장법상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를 권유하는 것입니다. 사모는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를 권유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개인투자자는 소수에게 투자 자격이 주어지는 사모보다 공모에 투자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주식의 구분
주식은 액면표시와 기명 여부 배당과 잔여재산 분배 순서, 전환 여부 등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되고 있습니다.
1. 액면표시
주식은 자본의 구성단위로써 균등한 단위로 합니다. 금액으로 표시하는 방식인 액면주식과 전체 자본금에 대한 비율로 표시하는 방식인 무액면주식이 있습니다. 상법 개정으로 인해 무액면주식의 발행도 가능하지만 한국은 미국과 다르게 여전히 액면주식을 주로 발행합니다.
액면가 5,000원 미만의 주권을 발행할 때 1주의 금액은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으로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유가증권시장은 액면 5,000원으로 하고 코스닥시장은 액면 500원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기명 여부
주주의 성명이 주권과 주주명부에 표시되는지에 따라서 기명주와 무기명주로 구분합니다. 거래소의 경우 기명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3. 배당, 잔여재산 분배 순서
배당이 잔여재산의 분배에 관하여 우선적인 지위가 인정되는 주식을 우선주라고 합니다. 열후적 지위에 있는 주식을 후배주라 합니다. 일반적인 주식은 보통주입니다. 보통 우선주의 경우 배당 조건이 보통주에 비하여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신 의결권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전환여부
전환주식은 주식을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전환권을 사채와 결합하여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과 사채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투자자의 관심이 많은 편입니다.
주식 상장의 의의
상장은 주식 시장에 올린다는 말입니다.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거래소가 정하는 요건을 충족한다면 증권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현재 법에 허가된 거래소는 한국거래소 밖에 없습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IPO와 헷갈리면 안 됩니다. 기업공개는 기업이 공모를 통하여 여러 투자자들에게 발행주식을 분산시켜 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 상장 이전 단계입니다. 상장을 위해서 기업공개를 거치는 것입니다. 기업공개가 상장인 것은 아닙니다.
주식 상장의 효과
중소기업의 목표는 회사를 키우고 상장사가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상장사가 된다는 것은 꽤나 힘들기도 하지만 상장회사라는 효과와 자부심도 그만큼 큽니다. 상장의 효과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자금조달 확대
상장을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자금조달입니다. 증권시장을 통하여 증자나 채권발행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업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2. 기업 홍보
상장회사라는 자체만으로 기업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직원의 입장에서도 상장회사에 근무하는 것으로 자부심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3. 투자자본의 회수 가능
상장을 하게 되면 주식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회사 설립자나 초기 투자자의 투자금 회수가 그만큼 쉬워지는 것입니다.
4. 소유와 경영 분리
기업공개 등으로 주식 분산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고 회사 경영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게 됩니다.